본문 바로가기

헬스4

//우리 몸의 근육의 종류와 쓰임새에 대하여 #1(골격근계와 머리부위의 근육들)// ◈ 골격근계 ◈ 좌측의 인체도는 우리 몸의 골격근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occipitofrontalis 뒤통수이마근, 후두전두근(後頭前頭筋) 2 temporoparietalis 관자마루근, 측두두정근(側頭頭頂筋) 3 orbicularis oculi 눈둘레근, 안륜근(眼輪筋) 4 levator labii superioris 위입술올림근, 상순거근(上脣擧筋) 5 masticatorii(masticatory muscle) 씹기근육, 저작근(咀嚼筋) 6 sternocleidomastoideus 목빗근, 흉쇄유돌근(胸鎖乳突筋) 7 orbicularis oris 입둘레근, 구륜근(口輪筋) 8 deltoideus 어깨세모근, 삼각근(三角筋) 9 trapezius 등세모근, 승모근(僧帽筋) 1.. 2023. 2. 7.
//속도기반훈련(Velocity Based Training)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2// 운동 부하 프로파일링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매우 복잡하게 들리지만 운동 부하 프로파일링은 MVT와 매우 유사하게 작동하며 어떤 면에서는 MVT의 단순한 확장으로 볼 수 있다. 이쯤이면 1RM 테스트와 실패에 대한 최대 반복 테스트의 마지막 반복 사이의 MVT가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흥미로운 점은 평균 동심 속도가 다양한 강도에 걸쳐 '예비 반복'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아래 표는 선수가 '탱크에 남아있는 반복 횟수'가 x일 때 평균 동심 속도가 어떻게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보여주고 있다. '예비 반복'은 단순히 선수가 탱크에 남아 있는 반복 횟수를 의미한다는 점을 기억하면 표를 예를 들어 선수가 탱크에 9회 반복을 남.. 2023. 2. 1.
//속도기반훈련(Velocity Based Training)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1// ◈ 속도기반훈련(Velocity Based Training)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 이제는 많은 실무자가 이러한 형태의 교육을 채택함에 따라 속도기반훈련을 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부하 속도 프로파일링 및 1RM 예측 1. 1RM 예측이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가? 부하와 속도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하나가 증가하면 하나가 감소하는 반비례관계를 형성한다.) 특정 상황에서 '선형'으로 알려진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운동에서 선수의 1RM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1RM을 예측하는 이러한 방법은 평균 추진 속도를 사용할 때 스미스머신 하프 스쿼트와 프리 웨이트 및 스미스 머신 벤치 프레스 모두에 대하여 95%의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USH.. 2023. 2. 1.
// 속도기반훈련(VBT)란 무엇인가? // ◈ 요약내용 ◈ 속도 기반 훈련은 근력 및 컨디셔닝 코치, 개인 트레이너 및 기타 모두에게 유용한 도구인 것으로 보인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은 선형 위치 트랜스듀서와 가속도계인 것으로 보이며, 각각 GymAware 장치와 PUSH 밴드가 그 예이다. 최근에는 'FLEX'라는 고정밀 레이저 광학 장치도 시장에 출시되었다고 한다. 특정 상황에서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대 이하부하를 사용, 1RM을 예측하는 데 유효하고 다소 신뢰할 수 있는 도구인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속도 기반 훈련은 선수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성능 향상을 촉진하는 등 다른 많은 유용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교육 도구에는 많은 유용한 기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코치는 기술에 주의가 산만해.. 2023.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