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내용 ◈
속도 기반 훈련은 근력 및 컨디셔닝 코치, 개인 트레이너 및 기타 모두에게 유용한 도구인 것으로 보인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은 선형 위치 트랜스듀서와 가속도계인 것으로 보이며, 각각 GymAware 장치와 PUSH 밴드가 그 예이다. 최근에는 'FLEX'라는 고정밀 레이저 광학 장치도 시장에 출시되었다고 한다. 특정 상황에서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대 이하부하를 사용, 1RM을 예측하는 데 유효하고 다소 신뢰할 수 있는 도구인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속도 기반 훈련은 선수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성능 향상을 촉진하는 등 다른 많은 유용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교육 도구에는 많은 유용한 기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코치는 기술에 주의가 산만해져서 실제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잊어서는 안 된다.
◈ 속도기반훈련(VBT)란 무엇인가? ◈
속도 기반 훈련의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실제로 수십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볼 수 있다. 기술의 발전, 인터넷이 제공하는 정보의 접근성, 그리고 최근 몇 년 동안 속도 기반 교육의 개념과 적용을 추진한 시장 내의 틈새시장을 활용하는 기업의 발전 때문이다.
이러한 관심의 폭발은 애플리케이션과 기술 모두에서 몇 가지 매우 흥미로운 발전으로 이어졌다. 예를 들면, 선형 위치 변환기와 웨어러블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바벨의 속도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으므로 운동선수의 부하-속도 프로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복잡한 전문 용어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속도 기반 교육이 무엇이며 왜 유용한 지 설명하고자 한다.
개념이 새롭지는 않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관행은 새롭다. 이러한 형태의 훈련은 일반적으로 선형 위치 변환기(예를 들면, GymAware장치), 레이저 광학 장치(FLEX) 및 웨어러블 가속도계(PUSH Band)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운동하는 동안 이동 속도를 측정한다(바벨의 이동속도 등). 이것은 코치와 선수에게 그들의 운동성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코치가 매우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면, '바벨을 더 빠르게 들어 올리거나 더 힘차게 들어 올리세요'라고 피드백을 해줄 수 있도록 말이다.
◈ 속도기반훈련(VBT)이 유용한 이유는 무엇일까? ◈
근력 및 컨디셔닝 코치, 개인 트레이너, 물리치료사 및 기타 체육관 기반 실무자가 운동선수와 고객을 위한 저항 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일반적으로 강도, 볼륨, 휴식, 빈도, 템포 등과 같은 많은 훈련 내용들을 수정하고 적용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세트 사이 휴식 시간이 1분이고 선수에게 주당 세 번의 훈련 빈도가 주어질 수 있지만 강도와 같은 다른 변수는 계산하기가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자면, 동일한 근력 수준 등을 가진 완전히 동일한 두 명의 운동선수가 최대 1회 반복(1RM) 백 스쿼트의 80%를 수행했지만 한 선수는 최대한의 노력으로 바를 들어 올렸고 다른 한 선수는 그렇지 않은 경우 두 선수의 운동 강도가 같은 것인가 라는 문제에서 답은 '두 선수의 운동강도는 같이 않다'라고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최대한의 노력으로 바를 들어 올리는 것이 육체적으로 더 힘들기 때문에 다른 선수보다 더 열심히 노력한 선수의 운동강도가 더 높을 것이다.
→ 운동의 강도는 측정하기가 어렵다.
훈련 강도는 역사적으로 선수의 1RM의 백분율로 계산이 되어왔다. 운동선수의 1RM은 종종 새로운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과 프로그램을 마친 후에 최대 근력을 테스트하여 결정이 된다. 이를 통해 선수의 근력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향상이 되었는지 확인을 할 수 있다.
1RM의 백분율을 사용하는 이 접근 방식은 종종 훈련 강도 계산에 대한 '전통적인' 또는 '백분율 기반' 접근 방식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강도의 일일 변동을 고려하였을 때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럭비 경기 전의 근력 수준은 그다음 날의 강도 수준과 매우 다를 수 있으므로 1RM의 백분율을 기준으로 규정된 훈련 부하는 경기의 '신선도'에 맞게 지속적으로 조정해야 한다. 아래 그림은 한 운동선수의 1RM 일일 변동그래프이다.
위의 그래프에서 보이듯이 1RM이 매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월요일에 1RM 백스쿼트의 80%가 화요일에 1RM 백스쿼트의 80%와 같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딜레마를 종식시키기 위한 시도로 현대 기술은 실무자들에 1RM이 백분율이 아닌 강도의 지표로서 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오웬 워커(Owen Walker)라는 근력 및 컨디셔닝 코치의 작성글에서 발췌 -----
글쓴이는 전문적으로 연구와 실험을 하는 사람이 아니기에 조금이라도 더 신빙성 있는 정보 전달을 위하여 전문적이 부분은 전문인의 작성 글들을 참고하여 이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연구결과들을 참고하면서 저도 한 단계 발전하고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좋은 정보를 얻고 가셔서 건강한 운동생활을 하면 좋겠습니다.
'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몸의 근육의 종류와 쓰임새에 대하여 #1(골격근계와 머리부위의 근육들)// (0) | 2023.02.07 |
---|---|
//속도기반훈련(Velocity Based Training)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2// (0) | 2023.02.01 |
//속도기반훈련(Velocity Based Training)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1//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