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격근계 ◈
좌측의 인체도는 우리 몸의 골격근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occipitofrontalis 뒤통수이마근, 후두전두근(後頭前頭筋)
2 temporoparietalis 관자마루근, 측두두정근(側頭頭頂筋)
3 orbicularis oculi 눈둘레근, 안륜근(眼輪筋)
4 levator labii superioris 위입술올림근, 상순거근(上脣擧筋)
5 masticatorii(masticatory muscle) 씹기근육, 저작근(咀嚼筋)
6 sternocleidomastoideus 목빗근, 흉쇄유돌근(胸鎖乳突筋)
7 orbicularis oris 입둘레근, 구륜근(口輪筋)
8 deltoideus 어깨세모근, 삼각근(三角筋)
9 trapezius 등세모근, 승모근(僧帽筋)
10 pectoralis major 큰 가슴근, 대흉근(大胸筋)
11 latissimus dorsi 넓은등근, 광배근(廣背筋)
12 triceps brachii 위팔세갈래근, 상완삼두근(上腕三頭筋)
13 biceps brachii 위팔두갈래근, 상완이두근(上腕二頭筋)
14 serratus anterior 앞톱니근, 전거근(前鋸筋) 혹은 전방거근(前方鋸筋)
15 rectus abdominis 배곧은근, 복직근(腹直筋)
16 obliquus externus abdominis 배바깥빗근, 외복사근(外腹斜筋)
17 tensor fascia lata 넙다리근막긴장근, 대퇴근막장근(大腿筋膜張筋)
18 rectus femoris 넙다리곧은근, 대퇴직근(大腿直筋)
19 gluteus maximus 큰볼기근, 대둔근(大臀筋)
20 pronator quadratus 네모엎침근, 방형회내근(方形回內筋)
21 flexor retinaculum 굽힘근지지띠, 굴곡근지지대(屈曲筋支持帶)
22 flexor digitorum communis 손가락굽힘근, 총지굴근(總指屈筋), 총수지굴근(總手指屈筋)
23 sartorius 넙다리빗근, 봉공근(縫工筋)
24 quadratus femoris 넙다리네모근, 대퇴방형근(大腿方形筋)
25 ischiocrurale 넓적다리뒤근육, 좌골하퇴근(坐骨下腿筋)
26 gastrocnemius muscle 장딴지근, 비복근(髀腹筋)
27 tibialis anterior 앞정강근, 전경골근(前頸骨筋)
28 soleus 가자미근, 비근(腓筋)
29 extensor retinaculum 폄근지지띠, 신전근지지대(伸展筋支持帶)
30 triceps surae 종아리세갈래근, 하퇴삼두근(下腿三頭筋)
◈ 근육계 ◈
※ 위의 두 그림은 우리 인체에 분포되어 있는 근육들의 명칭과 위치들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에게는 대략 640개의 골격근이 있고, 대부분의 근육이 좌우대칭의 양측성 근육이므로 대략 320쌍의 근육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근육의 숫자를 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인데 왜냐하면 특정 근육을 단일 근육의 다른 부분으로 정의할지, 각각의 근육으로 정의할지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640개에서 850개로 근육의 숫자를 다르게 셀 수가 있다.
인체의 근육들은 머리와 목(head and neck)의 근육, 몸통(torso or trunk)의 근육, 팔(upper limbs)의 근육과 다리(lower limbs)의 근육을 포함한 많은 분류로 나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할 동작(action)은 해부학적 위치의 각각의 근육의 동작을 의미한다.
이 근육들은 해부학 용어(anatomical terminology)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한국어, 한자어, 영어 용어가 섞여서 쓰이는 대한민국 의학계의 현실을 감안하여 한국어, 한자어, 영어 명칭을 모두 표기하여 설명하겠다. 여기에 사용된 한국어 명칭들은 대한해부학회 사이트에서 배포하는 용어집을 따랐다. 또한 아직도 임상의학 의사들이 많이 쓰는 한자어로 된 명칭은 KMLE 의학 검색엔진과 다국어 위키백과 등을 참고하였다.
인체 해부학에서의 골격근의 목록은 아래처럼 분류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을 보기 전에 인체 뼈 목록, 위치에 대한 해부학 용어, 운동에 대한 해부학용어, 근육에 대한 해부학 용어 문서를 읽으면 이해가 좀 더 쉬울 것이다.
▣ 머리 ▣
1. 두피 / 눈꺼풀부위의 근육
- 뒤통수이마근(후두전두근, Occipitofrontalis muscle) : 눈썹을 드는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
- 뒤통수힘살(후두근, Occipitali belly)
- 이마힘살(전두근, Frontalis muscle) : 눈썹을 찡그리는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
- 눈둘레근(안륜근, Orbicularis oculi muscle) : 눈꺼풀을 닫는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으로 대항근으로 눈꺼풀올림근(상안검거근,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muscle)이 있음
- 눈썹주름근(추미근, Corrugator supercilii muscle) : 이마를 찡그리는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
- 눈썹내림근(미모하제근, Depressor supercilii muscle) : 눈썹을 내리는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
2. 바깥눈근육(외안근, Extraocular muscles)
- 눈꺼풀올림근(Levato palpebrae superioris muscle) : 눈꺼풀의 들임과 올림을 담당
- 위눈꺼풀판근(Superior tarsal muscle) : 윗눈꺼풀을 드는 기능을 담당
- 눈둘레근(Orbicularis oculi muscle) : 눈꺼풀을 닫는 기능을 담당
2-1. 곧은근(Rectus muscles)
- 위곧은근(Superior rectus muscle) : 눈(eye)의 들기, 모으기, 안쪽으로 돌리는 기능을 담당
- 아래곧은근(Inferior rectus muscle) : 눈의 내리기, 모으기
- 안쪽곧은근(Medial rectus muscle) : 안구(eyeball)의 모으기
- 가쪽곧은근(Lateral rectus muscle) : 안구의 벌리기
2-2. 빗근(Oblique muscles)
- 윗빗근(Superior oblique muscle) : 주기능은 안쪽으로 돌리기, 부기능은 안구의 가쪽 돌리기와 내리기
- 아래빗근(Inferior oblique muscle) : 두눈바깥회선(extorsion), 올리기와 벌리기
3. 내안근(Intraocular muscles)
- 섬모체근(ciliary muscle) : 눈동자의 조절(accommodation)
- 동공확대근(Dilator pupillae muscle) : 동공의 확대(pupil dilation), 대항근으로 동공조임근
- 동공조임근(Sphincter pupillae muscle) : 동공의 수축(constricts pupil), 대항근으로 동공확대근
4. 귀
- 귓바퀴근육(Auricular muscles, Auriculares muscles) : 귀의 흔듬을 담당(wiggle ears)
- 관자마루근(Temporoparietalis muscle)
- 등자근(Stapedius) : 귀 속에서 소리의 진폭등을 감지하여 보호하는 역할
- 고막긴장근(Tensor tympani) : 고막의 텐션을 유지해 주는 역할
5. 코
- 눈살근(Procerus muscle) : 찡그리는 표정을 지을 때 사용되는 근육으로 이를 통해 콧구멍을 벌렁거릴 수 있도록 도움
- 코근(Nasalis muscle) : 콧구멍을 움직이는 역할
- 콧구멍확대근(Dilator naris muscle) : 콧구멍을 벌리는 역할
- 코중격내림근(Depressor septi nasi muscle) : 콧방울을 아래로 내리고 콧구멍을 줄이는 역할
- 윗입술콧방울올림근(Levato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muscle) : 콧구멍을 넓히고 윗입술을 올리는 역할
4. 입
- 입꼬리올림근(Levato anguli oris) : 입꼬리를 올리는 역할(미소를 지을 때 등)
- 입꼬리내림근(Depressor anguli oris muscle) : 입꼬리를 내리는 역할
- 윗입술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muscle) :윗입술을 올리는 역할
- 아래입술내림근(Depressor labii inferioris muscle) : 아래입술을 내리는 역할
- 턱끝근( Mentalis muscle): 아래입술을 내밀거나 턱에 주름을 지게 하는 역할
- 볼근(Buccinator muscle) : 입꼬리를 뒤로 당기고 뺨을 납작하게 하여 음식을 씹을 때 뺨이 이에 붙어있도록 하는 역할
- 입둘레근(Orbicularis oris muscle) :입술을 모으고 확대시키고 다무는 역할
- 입꼬리당김근(risorius muscle) : 입꼬리를 가쪽으로 당겨 미소를 지을 때 사용하는 근육
4-1. 광대근(Zygomatic muscles)
- 큰광대근(Zygomaticus major muscle) : 입꼬리를 뒤로 들이고 위로 올림
- 작은광대근(Zygomaticus minor muscle) : 위입술을 뒤로 들이고 위로 올림
5. 씹기에 관련된 근육
- 깨물근(Masseter muscle) : 아래턱을 끌어올려 위턱으로 밀어 올리는 기능
- 관자근(Temporalis) : 아래턱뼈를 올리고 들이는 기능
5-1. 날개근(Pterygoid muscles)
- 가쪽날개근(Lateral pterygoid muscle) : 턱을 벌리는 기능
- 안쪽날개근(Medial pterygoid muscle) : 강하게 아래턱뼈를 올리며 아래턱을 내미는 기능
6. 혀
6-1. 바깥기원근육(외인근육, 외재근, Extinsic muscles)
- 턱끝혀근(Genioglossus muscle) : 혀를 내미는 기능
- 목뿔혀근(Hyoglossus muscle) : 혀를 내리면서 뒤로 들이며 혀의 등쪽면을 더 볼록하게 하는 역할
- 작은뿔혀근(Chondroglossus muscle) : 목뿔혀근이 혀를 내리는 것을 도움
- 붓혀근(Styloglossus muscle)
- 입천장혀근(Palatoglossus muscle)
6-2. 자체기원근육(내인근육, 내재근 Intrinsic muscles)
- 혀위세로근(Superior longitudinal muscle) : 혀를 넓게, 짧게 만들고 혀모서리와 혀 등을 올리도록 작용, 혀 등을 오목하게 만들 때도 사용
- 혀가로근(Transverse muscle) : 혀를 좁고 길고 두껍게 하는 기능, 혀의 양 옆을 들어 올리는데 작용
- 혀아래세로근(Inferior longitudinal muscle) : 혀를 입 안으로 넓고 짧아지도록 작용, 혀 등을 볼록하게 만듦, 혀끝을 혀아래로 끌어내림
- 혀수직근(Vertical muscle) : 혀끝을 넓고 평평하게 펴는 역할
7. 물렁입천장(연구개, Soft palate)
- 입천장올림근(Levato veli palatini muscle) : 입천장을 올리는 근육
- 입천장긴장근(Tensor veli palatini muscle) : 입천장을 팽팽히 하는 근육
- 목젖근(Musculus uvulae) : 음식물을 삼킬 때 목젖이 수축하여 코와 목 사이를 나눠주는 역할을 하고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음식물이 코로 역류하는 현상을 막아주는 역할
- 입천장혀근(Palatoglossus muscle)
- 입천장인두근(Palatopharynageus muscle) : 음식을 삼키는 동안의 움직임에 관여
8. 인두(Pharynx)
- 붓인두근(Stylopharyngeus muscle) : 음식을 삼키는 동안의 움직임에 관여
- 귀관인두근(Salpingopharyngeus muscle) : 코인두를 좁힐 때 관여하는 근육
8-1. 인두근(Pharyngeal muscles)
- 아래인두수축근(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 음식물 덩어리를 아래쪽의 식도로 보내는 역할
- 중간인두수축근(Middle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 위인두수축근(Sup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9. 후두(Larynx)
- 반지방패근(Cricothyroid muscle) : 후두를 긴장시키는 유일한 근육으로 발성을 도움
- 모뿔근(Arytenoid muscle) : 성대문의 구멍이 닫히면서 성대의 뒤쪽 연결부를 없애는 역할
- 방패모뿔근(Thyroarytenoid muscle) : 모뿔연골을 방패연골 쪽으로 당겨 성대주름을 이완시키며 짧게 만드는 역할
9-1. 반지모뿔근(Cricoarytenoid muscles)
- 뒤반지모뿔근(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 호흡을 할 수 있게 하는 근육
- 가쪽반지모뿔근(Lateral cricoarytenoid muscle) : 성대를 여는 근육, 호흡과 말하기에 도움을 주는 근육
여기까지 근골격계와 우리의 머리 부위에 있는 근육들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글에서는 우리의 목과 몸통부위에 있는 근육들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합시다.
'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도기반훈련(Velocity Based Training)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2// (0) | 2023.02.01 |
---|---|
//속도기반훈련(Velocity Based Training)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1// (0) | 2023.02.01 |
// 속도기반훈련(VBT)란 무엇인가? // (0) | 2023.02.01 |
댓글